28일 낮..
한국 여행을 다녀온 일본인 M 씨로부터 문자가 한 통 왔었는데요, 그 문자를 보자마자 저는 피식 웃고 말았어요.
<해석>
안녕하세요..
선생님은 총각김치, 좋아하세요?
한국에서 돌아오는 날(지난주 화요일;18일) 아는 사람의 식당 아주머니로부터 총각김치를 받았어요.
김치요 언제가 유통기한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아직 괜찮겠죠?
선생님이 좋아하고, 유통기한이 괜찮다면, 내일 (공부할 때) 조금 가져가려고 하는데, 어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은 총각김치, 좋아하세요?
한국에서 돌아오는 날(지난주 화요일;18일) 아는 사람의 식당 아주머니로부터 총각김치를 받았어요.
김치요 언제가 유통기한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아직 괜찮겠죠?
선생님이 좋아하고, 유통기한이 괜찮다면, 내일 (공부할 때) 조금 가져가려고 하는데, 어떼세요?
저 문자에서 가장 제 이목을 끌었던 부분은 바로 김치에 유통기한이 있냐는 질문이랍니다. (물론 유통기한과 상미기간은 좀 다릅니다. 하지만, 일본에는 유통기한이라는 표현이 없으므로...)
M씨는 김치를 가지고 온 지 꽤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혹시 저한테 주는 게 실례가 되는 건 아닌지 조심스럽게 묻고 있는데요. 저는 그런 걱정 할 필요 없으니 냉장고에 넣고 천천히 드시라고 알려드렸습니다. 또, 조금 주시면 감사히 먹겠다는 답장도 곁들여 보냈답니다. M 씨는 김치에 유통 기한이 그렇게 길 줄은 몰랐다며 매우 놀라더군요.
어제 M 씨를 만났는데, 두 가지 김치를 건네주더군요.
M 씨는 김치를 전해줄 때부터 이미 입이 근질근질한 듯 보였답니다. 무슨 김치냐고 묻는 제 질문이 끝나기도 전에 봇물터지듯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했으니까요.
M 씨에게는 T 씨라는 일본인 친구가 있다고 합니다.
M 씨는 한국에 여행을 가기 전에 T 씨에게 한국의 맛 좋은 식당을 물었고, T 씨는 친분이 있는 한 한국인(일본에 살고 있음)의 가족이 운영하는 식당(서울)을 소개했다고 하는군요. T 씨도 한국에 갔을 때 그 식당에 들른 적이 있어, 식당 아주머니와 안면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서 M 씨는 서울 여행을 하면서 일부러 그 식당에 찾아가서 식사를 했다고 합니다. 식사를 하는데, 마침 아주머니가 지나가시기에 한국말로 T 씨의 소개로 왔다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그러자, 주인 아주머니는 굉장히 반가워 하셨고, 분주하게 이리저리 뛰어 다니시더니 다른 먹거리들을 가지고 오시기 시작했답니다. 또 식당 주방이 아닌 다른 방(그 만큼 뭔가 특별한)에서 온갖 반찬들을 잔뜩 가지고 오시더랍니다. 식사를 마치자, 과일을 손수 들고 나와 깎아 주셨고, 그 후에는 커피까지 제공해 주셨다네요.
그런 생각도 못했던 대접에 M 씨는 몸 둘 바를 몰랐다고 합니다. 이유는 그 식당 주인 아주머니는 물론이고 그 아주머니의 가족(일본에 사는 T 씨의 지인)조차 만난 적이 없는, 어디까지나 한 다리 건너 아는 사이였기 때문이었답니다. 게다가, 같이 동행한 M 씨의 여동생은 아예 연결고리조차 없는(T 씨도 모름) 타인이었으니까요.
그 뿐만이 아니었답니다.
식사값을 받지 않으셨고, 가려고 하는 M 씨 자매를 붙잡고는 어디론가로 따라오라고 했답니다. 따라가보니 큰 냉장고가 있었고, 아주머니는 거기서 김치를 꺼내, 봉지에 담기 시작하시더랍니다. 처음에는 한 봉지에 계속 김치를 담길래, 저걸 어떻게 나누지~ 하고 걱정을 했답니다. 왜냐하면 M씨는 고베에, 여동생은 동경에 살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인심가득 담은 봉지가 한 사람 분이라는 사실을 나중에 알고는 또 한번 놀라고 말았다네요. 그렇게 김치를 받아들고 공항에 가서 달아보니 1인당 6키로 정도의 양이었답니다. 그러면서 저에게 그럽니다.
" 다다다샘, 정신없이 이것저것 다 챙겨주셔서 거절할 경황도 없이 받기는 했는데, 이렇게 받아도 되는지 모르겠어요.. 저는 아주머니의 한국인 가족도 직접적으로는 모르는 사람인데 괜찮은 걸까요? "
" 물론이에요. 식당 아주머니도 M 씨 만나서 일본에 사는 가족 생각에 반갑고 행복하셨을 거예요. "
저는 M씨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굉장히 뿌듯하고 행복했답니다.
아주머니가 보여주신 큰 사랑과 인심에 괜히 어깨가 으쓱해지더군요. 또, 그 인심이 저희집까지 이어져서, 어제 오늘 저 김치로 맛있게 식사할 수 있었답니다. 맛있게 잘 먹었다는 인사라도 드리고 싶다는 생각까지 들더군요.
세상이 퍽퍽해졌다는 생각이 많이 들곤하지만, 한국 식당 아주머니의 인심은 저의 마음을 촉촉히 적셔주시기에 충분했답니다.
게다가 M 씨는 한국에서 가져온 김치를 주변의 지인들과 나누어 먹고 있다고 하니, 식당 어머니의 인심은 일본의 여러 사람들에게 전파되고 있다는 생각도 들었답니다.
유통기한이 필요없는 우리의 김치처럼, 아주머니가 베푸신 인심은 더욱 깊은 맛으로 익어가며 이 곳 사람들에게 오래오래 기억되길 기대해 봅니다.
'일본생활 (일본문화) > 다다다가 보는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인이 한국인과 운동 이야기 하다가 놀라는 점 (51) | 2012.01.11 |
---|---|
일본에서 농담 한 마디에 철없는 아내가 된 나 (49) | 2011.11.12 |
K팝을 듣고 내가 사랑을 느낄 때 일본인은 공포를 느낀다? (50) | 2011.10.19 |
일본에서 해외여행 가려다가 낙심한 이유 (44) | 2011.10.06 |
일본에서 냉장고 사러 갔다가 직원에게 들은 잔소리 (51) | 2011.09.30 |